건국소개 역사와 비전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건국대학교를 소개합니다.

인재상

설립자 유석창 박사가 말씀하신 건학이념 본교의 교시는 誠·信·義 이다.
은 진실과 지성을 말함이니 모든 일의 비록과 끝이 여기에서 이루어진다.
은 사회생활의 근간이니 모든 단결과 협동이 여기에서 이루어진다.
는 정의와 용기를 가리킴이니 청사에 길이 빛나는 인물들의 업적은 모두 의의 기록이다.
인재상
  • 건학이념
    정성 성 : 건전한 사랑 함양과 인격의 도야
    믿을 신 :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응용방법을 연구 및 실천
    옳을 의 : 국가 동량의 인재 양성으로 발전에 기여
  • 교육목표
    합리적 소통인
    전문적 통섭인
    창의적 실천인
    선도적 세계인
  • 인재상
    생각하는 실천인, Cogito 人 : 지성과 탐구로 새롭게 사고하며 열의를 가지고 시민사회를 구현해 나갈 실천적 주체
    CO형 인재 (COLLABORATION) : 협력 기반의 소통형 인재
    GI형 인재 (ORIGINALITY) : 독창성 기반의 탐구형 인재
    TO형 인재 (TOGETHER) : 글로컬 기반의 주도형 인재
  • 핵심역량
    협력적 소통역량
    융합적 탐구역량
    창의적 혁신역량
    글로컬 리더역량
  • 하위요인
    의사소통능력, 인성능력, 대인관계능력
    종합적 사고력, 지식탐구능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자원활용능력, 자기관리능력
    리더십, 외국어능력, 글로컬 시민역량

핵심역량

핵심역량
  • Cogito 핵심역량
  • TO형 인재(Together) - 선도적 세계인
    1번 글로컬 리더역량
    세계시민이자 지역시민의 글로컬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외국어 능력을 발휘해 글로벌 활동을 주도하고 참여하는 역량
  • CO형 인재(Collaboration) - 합리적 소통인
    2번 협력적 소통역량
    성실하고 정직한 올바른 인성을 바탕으로 대인관계를 협력적으로 이끌어내며,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역량
  • Gi형 인재(Originality) - 창의적 실천인
    3번 창의적 혁신역량
    정보와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습관과 방법을 바꾸고 새로운 것을 생각하며 만들어낼 수 있는 역량
  • Gi형 인재(Originality) - 전문적 통섭인
    4번 융합적 탐구역량
    종합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인문학적 사고와 전공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탐구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설정된 목표에 맞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잇는 역량

핵심역량 구성체계

협력적 소통역량
협력적 소통역량
의사소통능력 상대방의 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과 의도를 효과적으로 표현, 전달하는 능력
이성능력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도덕적 성품 및 시민과 직업인으로서 보편적으로 지켜야 할 윤리 등을 준수하는 능력
대인관계능력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조직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협력하면서 업무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
융합적 탐구역량
융합적 탐구역량
종합적 사고력 해결해야 할 과제를 논리적으로 분석·분류하고 타당한 근거나 기준을 설정하여 평가할 수 있는 능력
지식탐구능력 전공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학습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깊이있게 연구하여 문제를 인식하는 능력
문제해결능력 문제의 특성을 파악하고, 최선의 대안을 선정하여 의사결정을 이루며, 이를 적절하게 해결하는 능력
창의적 혁신역량
창의적 혁신역량
창의력 상상력과 호기심을 발휘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사안에 접근해 새로운 기념, 아이디어, 방법등을 이끌어내는 능력
자원활용능력 적절한 도구나 기법을 효과적으로 동원해 정보, 사람 등 다양하고 수많은 자원 중에서 적합한 자원을 수집하여 선별하고 활용하는 능력
자기관리능력 스스로 학습동기를 고취하여 학습과정 및 전략을 결정하며, 자신의 관습과 방법을 변화시키고 유지하는 능력
글로컬 리더역량
글로컬 리더역량
리더십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 에너지를 부여하며, 책임감을 가지고 조직을 이끌어나가는 능력
외국어능력 세계화 시대에 개인에게 요구되어지는 외국어와 관련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를 통한 외국인과의 의사소통능력
글로컬 시민역량 글로컬 시민으로서 지역 및 전세계와 연대감을 갖고, 자신의 책임을 다하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