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 전략체계도

-
- 특성화 목표
- 지·산·학·연 협력 기반 지역에 특화된 실무형 Cogito형전문인재 양성
-
- 추진 방향
-
- 학문 특성화
- 기능 특성화
-
- 특성화 분야 및 추진전략
- 의료바이오
- RED BIO : 정밀의료, 바이오 의약/신약
- GREEN BIO : 푸드테크, 의약/식품 소재
- ICT 융합
- 스마트 제조 혁신 : 스마트 공장, 디지털 전환
- S/W 융합 : 디지털 혁신, 빅데이터
- K-컬쳐
- K-컬쳐 콘텐츠 발굴 : 지역문화/관광, 의약/패션/뷰티 등
- K-컬쳐 글로벌 보급 : 디지털 미디어, K-컬쳐 플랫폼
-
- 취·창업 지원 강화
- 현장실무 중심 교육 강화, 평생 직업 교육 강화
- 지·산·학·연 협력 지원체계 구축
특성화 목표 해설

-
- 특성화 목표
- 지·산·학·연 협력 기반 지역에 특화된 실무형 Cogito형전문인재 양성
-
- 의료바이오
- ICT 기술과 융합한 RED BIO, GREEN BIO 분야 육성
-
- ICT 융합
- 빅데이터 기술 기반의 DX 전환, 디지털 혁신, 스마트 팩토리 분야 육성
-
- K-컬쳐
- 지역사회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K-컬처 지·산·학·연 거버넌스 기반 지역 미래산업 분야 연구 및 산학협력 활성화 생태계 구축·운영
-
- 취·창업 지원 강화
- 학령기학생 현장실무 전문인력 양성, 성인 학습자 Re & Up-skilling 지원을 통한 평생직업교육 체계 구축·운영
학문 특성화 영역별 추진 방안

- 의료바이오 특성화 추진 영역
- 의료 바이오 특성화
- RED BIO
- 정밀의료, 의료기기
- 빅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 디지털의료기기, 각종 진단 의료기기 등
- 바이오의약, 신약
- 재조합 바이오 의약품
- 재생 의약품
- 저분자 및 천연물의약품
- 정밀의료, 의료기기
- GREEN BIO
- 푸드테크
- 대체식품, 친환경 제품 개발
- ICT융복합 기반 스마트 팜
- 소재(의약/식품/신소재)
- 생물체 단백질 원료/재료
- 재조합/재생/천연 소재
- 식품 첨가물, 기능성 식품
- 화장품, 천연물 산업
- 푸드테크
- ICT 융합 특성화 추진 영역
- ICT 융합
- 스마트 제조 혁신
- 스마트공장
- 스마트공장 구축(지자체 정책연계)
- 스마트공장 컨설팅 및 교육
- 제조분야 디저털전환
- BIT DX 전환 추진
(바이오헬스, 지능형IT부품, 수송기계소재부품) - DX 전환 확산 및 전문인력양성
- BIT DX 전환 추진
- 스마트공장
- SW융합
- 디지털 혁신, 지능형 로봇
- 지역주력산업과 SW기술 융합 산업생태계 구축
- AI, 5G기반 로봇 융합
- 빅데이터, 가상융합 등
- 데이터통합서비스
- VR · AR, 메타버스 등
- 디지털 혁신, 지능형 로봇
- K-컬쳐 특성화 추진 영역
- K-컬쳐
- K-컬쳐 콘텐츠 발굴
- 지역전통문화, 지역관광자원
- 지역문화 연구, 전통문화 계승
- 문화유산 저변 확대 연구
- 로컬크리에이터 양성
- 의약, 패션, 뷰티, 푸드, 게임 등
- 한류 문화 기반 다양한 파생 콘텐츠 발굴
- 지역전통문화, 지역관광자원
- K-컬쳐 글로벌 보급
- 디지털 미디어
- K-컬쳐 보급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 제작
- K-컬쳐 플랫폼 구축
- K-컬쳐 보급을 위한 플랫폼 개발
- 디지털 미디어
특성화 분야별 대학종합발전계획 실행과제 연계 방안

- 학문 특성화
- 의료바이오
- ICT융합
- K-컬쳐
-
- 대학 특성화 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 KINO 모델 전공교육과정 확대 운영
- 전공특화역량 기반 전공교육과정 고도화
- 혁신공유대학 활성화 융복합 교육과정 운영 고도화
- 전공특화역량 기반 전공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기능 특성화
- 현장실무중심 교육 강화
- 교육환경변화에 따른 KU 혁신교수법 개발 및 운영
- 지역 산업체 기반 맞춤형 현장실습 지원 강화
- 취창업 지원 강화
- 지역정주형 인력양성을 위한 취업지원체계 고도화
- 진출분야별 취업준비 지원 프로그램 강화
- 지역정주형 창업지원 커뮤니티 활성화
- 지역정주형 인력양성을 위한 취업지원체계 고도화
- 평생직업교육 강화
- 사회수요 맞춤형 대학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지역기반 평생교육 체계 강화 및 프로그램 확대
- 성인학습·재직자 교육 활성화
- 사회수요 맞춤형 대학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지산학연 협력 강화
- KU 지·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 및 산학협력 지원시스템 구축
- 연구성과 확산을 위한 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 KU 지·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 현장실무중심 교육 강화